hioknews

유럽 기업 “韓사업 성과 만족도 떨어졌다”…규제·법률 걸림돌

<주한유럽상공회의소 등 11개 상의, 한국 사업 CEO 139명 조사>

한국 주재 유럽 기업의 사업 신뢰도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고 주한 유럽상공회의소(ECCK)가 24일 밝혔다.

이날 ECCK와 주한독일상공회의소(KGCCI)를 포함한 11개 유럽지역 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실시한 ‘2024/25 한국 기업환경 설문 조사’에서 기업 성과에 만족한다는 유럽 기업인은 45%로 전년의 58%에서 줄었다. 만족도는 2022년 68%, 2023년 58%, 2024년 45%로 꾸준히 감소했다.

올해 1월 22일부터 2월 14일까지 진행한 이번 설문 조사에는 한국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유럽 기업의 최고경영자(CEO) 139명이 참여했다.

매출 동향에서도 2024년 세전 영업이익(EBIT)이 5% 이상 늘어난 기업은 27%에 불과해 2023년 42%, 2022년 54%에서 줄었다. 시장 점유율 역시 치열한 경쟁 환경을 보여줬다.

시장 점유율이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기업인은 62%에 달했고 성장을 경험했다고 답한 기업인은 24%에 불과했다.

앞으로 2년간의 비즈니스 전망은 엇갈렸다. 대부분의 기업들이 완만한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지만, 한국이 글로벌 전략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눈에 띄게 후퇴했다. 한국의 중요성이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자는 36%로 2023년 53%, 2022년 59%에서 크게 줄었다.

어려운 사업 환경에도 한국에서 성장과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고 유럽 기업인들은 답했다. 올해 고용에 투자할 계획이라는 응답자는 절반이 넘었다. 22%는 시설 투자, 12%는 연구개발(R&D) 투자를 계획했다.

유럽 기업들은 한국 시장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로 규제 및 법률 관련 이슈로 꼽았고 일관성 없는 규제 집행과 주요 산업의 경기 둔화도 주요 문제로 지적됐다.

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매력적 시장으로 평가 받았다. 특히 관세, 세금 절차, 외국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개방성 등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았다.

한국-EU 자유무역협정(FTA)의 지속적인 이행으로 무역 장벽을 낮아지고 더 많은 기회가 유럽과 한국, 양쪽에 주어지고 있다고 ECCK는 평가했다.

녹색 성장 이니셔티브에 이어 바이오헬스, 디지털 등 협력의 지평도 넓어지고 있어 유럽 기업들은 여전히 의미 있는 성공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ECCK는 예상했다.

신기림 기자<기사제공 = 하이유에스 코리아 제휴사, 뉴스1>

Related posts

산수유 유명 여행지, 송파둘레길! – 구례 산수유마을

강인구 기자

송파둘레길 벚꽃 만개 – 서울 속 숨은 벚꽃 명소

강인구 기자

[풀려난 尹] 정국 요동, “헌재 판단 별개지만 여론변화 불가피”

강남중 기자